Published on

React로 알아보는 선언적 프로그래밍 Part. 1

Authors
  • avatar
    Name
    Kim, Dong-Wook
    Twitter
Table of Contents

Intro

오늘은 지난 6개월 동안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일하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 부분을 글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지난 3년 동안 React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고민했던 부분을 아래에서 소개할 내용을 통해 우아하게 처리할 수 있었으며, 해당 내용이 재사용성을 높이고 프로젝트 코드에서 스파게티 코드를 없애고 싶은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정리하기에 앞서 해당 글을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된 Toss Slash 21 - 박서진님Feconf 22 - 이소영님의 발표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또한 해당 글은 추후 동아리 발표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미리 정리하는 느낌의 글임을 미리 밝힙니다.

우아하게 비동기 컴포넌트 선언적으로 프로그래밍하기

절차적으로 음식 만들기

조금 뜬금없지만 음식을 만드는 과정을 컴포넌트 제작하는 것에 빗대어 글을 쓰겠습니다.

저는 오늘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을 위해 파스타 컴포넌트를 직접 만들어주려고 합니다. 다행히도 누군가가 만들어준 파스타 만들기 API를 통해서 파스타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는데요.

기존에 절차적 프로그래밍 밖에 모르던 저는 다음과 같이 파스타 컴포넌트를 제작했습니다.

ProgressivePasta.tsx
import { FunctionComponent,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파스타제작 } from '@/api/food'
import { useQuery } from '@/hooks'

type Props = {
  name: string
}

const ProgressivePasta: FunctionComponent<Props> = ({ name }) => {
  const [isLoading, setLoading] = useState(false)
  const [isError, setError] = useState(false)
  const [food, setFood] = useState<FoodReponse['food'] | undefined>(undefined)

  useEffect(() => {
    ;(async () => {
      setLoading(true)
      try {
        const { food } = await 파스타제작(name)
        setFood(food)
      } catch (e) {
        setError(true)
      } finally {
        setLoading(false)
      }
    })()
  }, [name])

  if (isLoading)
    return (
      <div>
        절차적 {name}파스타가 만들어지는 중입니다
      </div>
    )

  if (isError)
    return (
      <div>
        {name}파스타가 만들어지는 중 실패했습니다
      </div>
    )

  return (
    <div>
      {food?.name}파스타가 만들어졌습니다
    </div>
  )
}

export default ProgressivePasta

우선 3가지의 상태를 React의 useState Hook을 통해 만들었습니다. 각각의 상태는 다음과 같은 상태를 저장합니다.

  1. 파스타제작 API를 통해 파스타를 만드는 중을 저장하는 상태
  2. 파스타제작 API를 통해 음식을 만드는데 실패한 상태
  3. 파스타제작 API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파스타 정보를 저장하는 상태

그리고 각각의 상태에 맞게 ProgressivePasta 컴포넌트가 어떤 JSX값을 리턴할지 아래와 같이 프로그래밍 합니다

if (isLoading)
  return (
    <div>
      절차적 <strong className="text-yellow-500">{name}</strong>파스타가 만들어지는 중입니다
    </div>
  )
if (isError)
  return (
    <div>
      <strong className="text-yellow-800">{name}</strong>파스타가 만들어지는 중 실패했습니다
    </div>
  )
return (
  <div>
    <strong className="text-yellow-500">{food?.name}</strong>파스타가 만들어졌습니다
  </div>
)

위의 방식은 절차적 프로그래밍에 익숙한 분들께는 오히려 명확하고 명시적으로 보일 것 입니다. 파스타를 만드는 과정에 있거나, 만드는 과정 중 에러가 있으면 해당하는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해당 상태에 따라서 명시적으로 어떻게 제공할지 한 문맥에서 정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배가 고팠던 친구들은 파스타 뿐만이 아닌 스테이크 또한 먹고 싶다고 하여, 저는 위에서 사용한 절차적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스테이크제작 API를 이용해 파스타&스테이크 컴포넌트를 제작했습니다

PastAndSteak.tsx

import { FunctionComponent, useEffect, useState, useCallback } from 'react'
import { 파스타제작, 스테이크제작 } from '@/api/food'

type Props = {
  pastaName: string
  steakName: string
}

// 위의 코드를 간단한 버전으로 Hook와 시킨 코드
export default function useQuery<T>(callback: Promise<T>)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T | null>(null);
  const [isError, setError] = useState<any>(null);
  const [isLoading, setLoading] = useState(false);

  useEffect(() => {
    ;(async () => {
      setLoading(true)
      try {
        const response = await callback;
        setData(response);
      } catch (e) {
        setError(e);
      } finally {
        setLoading(false);
      }
    })()
  }, [callback])

  return { data, isError, isLoading };
}


const ProgressivePastaAndSteak: FunctionComponent<Props> = ({ pastaName, steakName }) => {
  const {data: pastaData, isError: pastaIsError, isLoading: pastaIsLoading} = useQuery(파스타제작(pastaName))
  const {data: steakData, isError: steakIsError, isLoading: steakIsLoading} = useQuery(스테이크제작(steakName))

  if (pastaIsLoading || steakIsLoading)
    return (
      <div>
        절차적 요리가 만들어지는 중입니다
      </div>
    )

  if (pastaIsError || steakIsError)
    return (
      <div>
        요리가 실패했습니다
      </div>
    )

  return (
    <div>
      {pastaData.name}{steakData.name}이 만들어졌습니다.
    </div>
  )
}

export default ProgressivePastaAndSteak

어떤가요? 저는 위의 코드를 통해 친구들에게 성공적으로 파스타와 스테이크를 전달할 수 있겠지만, 음식을 2개만 만들어도 관련된 상태가 각각 3개씩, 총 9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음을 깨닫고 더 이상 요리를 하고 싶지 않을 것 입니다.(즉 3^n의 케이스가 발생)

Toss Slash 21 - 박서진님의 발표자료를 빌려보자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곱연산적 효과

즉, 저희가 음식을 추가로 만들수록(다르게 말하자면, 어떤 비동기적 행위를 추가할수록) 음식들에 대해서 곱타입 효과가 난다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위의 코드들은 한 문맥안에 저희가 제공하려는 음식 그 자체에 집중하지 못하고,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에러에 대한 처리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위의 문제를 우아하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상태를 숨기지 않고 그대로 드러내기(또는 부모에게 책임 전가하기)

해결방법은 숨기지 않고 그대로 드러내기 입니다. 또는 부모에게 책임 전가하기라고도 합니다. 자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이전 코드를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ProgressivePasta.tsx
//...
useEffect(() => {
  ;(async () => {
    setLoading(true)
    try {
      const { food } = await 파스타제작(name)
      setFood(food)
    } catch (e) {
      setError(true)
    } finally {
      setLoading(false)
    }
  })()
}, [name])
//...

절차적 프로그래밍에 익숙한 저는 그동안 위와 같이 부수효과를 일으키는 useEffect Hook안에서 비동기 상황에 따라서 상태(로딩, 에러, 불러오기 완료)를 업데이트 했습니다.

즉 이는 다르게 해석하면 어떤 상태를 처리하는 책임을 부수효과를 일으키는 곳에서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부모에게 책임 전가하기란 이를 해당 문맥에서 책임지지 않고 throw 문법을 통해서 부모 컴포넌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 입니다.

그리고 전가된 책임을 처리하는 부모컴포넌트가 있다면, 자식 컴포넌트는 내부에서 아무리 많은 API를 호출해도 상태(로딩, 에러, 불러오기 완료)를 신경쓰지 않고 데이터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것 입니다.

createResource.tsx
// 전달받은 Promise 객체를 통해 데이터를 불러오는 함수
export function createResource<T>(promise: Promise<T>) {
  let status: 'success' | 'pending' | 'error' = 'pending'
  let result: any

  const suspender = promise.then(
    (response) => {
      status = 'success'
      result = response
    },
    (error) => {
      status = 'error'
      result = error
    }
  )

  return {
    read() {
      switch (status) {
        case 'pending':
          // pending(loading)상태일 경우 Promise 객체를 throw
          throw suspender
        case 'error':
          // error일 경우 Error 객체를 throw
          throw result
        default:
          // 위의 pending, error가 아닐 경우 result 리턴
          return result
      }
    },
  }
}
DeclarativePasta.tsx
import { FoodReponse } from '@/api/food';
import React, { FunctionComponent } from 'react';

type Props = {
  resources: { read(): FoodReponse };
};

const DeclarativePasta: FunctionComponent<Props> = ({ resources }) => {
  const { food } = resources.read();

  return (
    <div>
      {food.name}파스타가 만들어졌습니다
    </div>
  );
};

export default DeclarativePasta;

Restaurant.tsx
//...

<"전가된 책임중 에러를 처리하는 컴포넌트"
  fallback={
    <div>
      알리오올리오 파스타를 만드는데에 실패했습니다
    </div>
  }
>
  {/* Promise, Error가 변환될때 적절하게 처리해주는 컴포넌트 */}
  <"전가된 책임을 처리하는 컴포넌트"
    fallback={<div>선언적 알리오올리오 파스타를 만드는 중입니다</div>}
  >
    <DeclarativePasta
      resources={createResource(파스타제작('알리오올리오'))}
    />
  </"전가된 책임을 처리하는 컴포넌트">
</"전가된 책임중 에러를 처리하는 컴포넌트">

//...

위와 같이 작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분명합니다. DeclarativePasta 컴포넌트 안에서 2~5 또는 그 이상의 API를 호출해도 DeclarativePasta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는 책임은 전가된 책임을 처리하는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DeclarativePasta는 데이터 자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만약 친구가 파스타와 스테이크 외에 다른 음식도 먹고 싶다면 부담없이 만들기가 가능하겠죠😎)

곱연산적 효과가 합연산적 효과로 바뀌었다고 볼 수 있으며, 어떻게하기 보다는 무엇을 할지에 집중한다고 볼 수 있는 것 입니다.

결론적으로 위의 방식을 통해 이전에는 처리해야할 경우의 수가 3^n가지였지만 전가된 책임을 처리하는 컴포넌트를 만듦으로써 로직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React는 이미 전가된 책임을 처리하는 컴포넌트전가된 책임중 에러를 처리하는 컴포넌트를 기본기능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능을 통해 Restaurant.tsx를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을 것 같습니다

Restaurant.tsx
//...

<ErrorBoundary
  fallback={
    <div>
      알리오올리오 파스타를 만드는데에 실패했습니다
    </div>
  }
>
  {/* Promise, Error가 변환될때 적절하게 처리해주는 컴포넌트 */}
  <Suspense
    fallback={<div>선언적 알리오올리오 파스타를 만드는 중입니다</div>}
  >
    <DeclarativePasta
      resources={createResource(파스타제작('알리오올리오'))}
    />
  </Suspense>
</ErrorBoundary>

//...

Part1 중간결론

React는 선언적 프로그래밍을 중요시하는 프레임워크이며 저희 또한 알게모르게 선언적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습니다. 예시로 많은 UI 프레임워크들이 지원하는 <Flex />, <Grid />, <VisuallyHidden /> 등과 같은 것들이 그 예시이며 <InputBox />, <Button />등 익숙한 것들도 모두 선언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리엑트는 UI뿐만 아니라 비동기 처리 또한 Suspense와 ErrorBoundary를 통해 선언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 견고하고 안전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적은 코드로 더 안전하고 더 많은 것들을 할 수 있습니다